원탑에이치알디
-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실시하세요!법정의무교육 2023. 6. 22. 13:51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실시하세요! 근로자를 대상으로 매년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는 교육을 우리는 법정의무교육이라고 합니다. 법정의무교육이라고 하면 다들 5대 법정의무교육으로 많이 알고 계실 것 같습니다. 분기별로 연 4회를 이수하여야 하는 산업안전보건교육을 제회한 나머지 법정의무교육은 연간 1회, 1시간 이상씩 이수하도록 법으로 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법으로 정해진 강제교육이기때문에 관련 법령에 따라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과태료를 부과하는 조항도 있습니다. 대표 과정으로 산업안전보건교육,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개인정보 보호교육,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퇴직연금교육이 있습니다. 오늘은 50인 이상 사업장은 익숙할 것 같은 교육인데요. 매년 장애인고용공단으로부터 교육 실시..
-
[법정의무교육] 퇴직연금교육법정의무교육 2023. 6. 20. 16:11
[법정의무교육] 퇴직연금교육 사업장에서 매년 실시하도록 정해진 법정의무교육. 이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라면 반드시 들어야 하는 의무 교육인데요. 만약 이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다면 엄연히 법률 위반행위로 간주되므로 그에 따른 과태로를 부과하는 조항까지 있는 교육입니다. 과정은 대표적으로 5대 법정의무교육으로 알고 계실 텐데요. 매년 분기별 연간 4회 실시하여야 하는 산업안전보건교육을 제외한 나머지 과정은 연간 1회, 1시간 이상씩 실시하시면 됩니다. 그 중에서도 퇴직연금제도에 가입된 사업장이라면 반드시 해당되는 교육인 퇴직연금교육에 대해서 오늘은 확인해보겠습니다. 퇴직연금제도란? 기업이 근로자가 재직하는 동안 외부 금융기관에 적립하여 근로자가 퇴직할 때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지급하는 제도로 사회보장 제도중 하..
-
[법정의무교육]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실시 안내법정의무교육 2023. 6. 19. 16:14
[법정의무교육]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실시 안내 산업안전보건교육은 분기별로 연 4회 시행하여야 합니다. 그를 제외한 법정의무교육은 모두 연간 1회, 1시간 이상 실시하는 교육들인데요. 오늘은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교육은 남녀고용평등과 일 ·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명시가 되어있으며 줄여서 남녀고용평등법이라고 부릅니다. 반드시 사업장의 사업주를 포함한 모든 근로자가 교육의 대상이며 교육 미실시의 경우 최대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까지 부과 된다는 사실을 한 번 정확히 짚어보려고 합니다. 제12조(직장 내 성희롱의 금지) 사업주, 상급자 또는 근로자는 직장 내 성희롱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3조(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등) ① 사업주는 직장 내 성희롱..
-
[산업안전보건교육] 과태료 부과 조항 확인하기산업안전보건교육 2023. 6. 19. 14:15
[산업안전보건교육] 과태료 부과 조항 확인하기 사업주라면 사업장의 근로자를 산업재해 등으로부터 보호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령으로 상시 근로자 수 5인 이상을 고용하는 사업장이라면 매년 필수적으로 챙겨야 하는 교육이 바로 "산업안전보건교육"입니다. 이 교육은 근로자의 안전과 직결이 되는 교육으로 만약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에 명시된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지 않는 경우, 최대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까지 부과된다는 조항이 존재하는 필수교육입니다. "과태료?" 과태료란 의무 이행을 태만히 한 사람에게 벌로 물게 하는 돈을 뜻하는데요. 벌금이나 과료완 달리 형벌의 성질을 가지지 않으며 법령위반에 대해서 과해지는 행정상의 금전입니다. 국가에서 정한 질서, 곧 산업안전보건법 법령이..
-
[산업안전보건교육] 건설업 12대 위험요인안전보건 정보 2023. 6. 14. 17:53
[산업안전보건교육] 건설업 12대 위험요인 원탑에이치알디 1661-1169 2023년 1월 고용노동부 장관이 발표한 2022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을 확인하면 22년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는 총 644명(611건)이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업종별로 확인하였을 때 건설업 341명(328건), 제조업 171명(163건), 기타업종 132명(120건) 발생하였으며, 업종별 사고사망자 발생 비중은 건설업 53%, 제조업 27%, 기타업종 20%를 차지하였습니다. 오늘은 사망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2대 업종인 건설업과 제조업 중 건설업의 12대 위험요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위험요인은 말그대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들을 뜻합니다. 요인이란, 사물이나 사건이 성립되는 까닭 ..
-
[산업안전보건교육] 제조업 12대 위험요인안전보건 정보 2023. 6. 14. 17:32
[산업안전보건교육] 제조업 12대 위험요인 23년 1월 고용노동부 장관에 발표한 2022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을 확인하면 총 22년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는 644명(611건)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업종별로 확인했을 때, 건설업은 341명(328건), 제조업 171명(163건), 기타업종 132명(120건) 발생하였으며 업종별 사고사망자 발생 비중은 건설업 53%, 제조업 27%, 기타업종 20%를 차지하였습니다. 오늘은 사망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2대 업종 건설업과 제조업 중 제조업의 12대 위험요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위험요인은 말그대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요인들을 말하는데요. "요인이란, 사물이나 사건이 성립되는 까닭 또는 조건이 되는 요소"를 말합니다. 이..
-
유해 · 위험요인 파악 - 산업안전보건교육안전보건 정보 2023. 6. 9. 16:28
유해 · 위험요인 파악 -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안전보건교육의 실시는 매년 분기별로 총 4회 실시를 해야합니다. 이번 달은 분기 마감달로 2분기 산업안전보건교육을 반드시 실시하여야 하는 기간입니다. 6월 30일까지 마무리 하셔야 하며, 만약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다면 최대 500만원에 달하는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아직 교육 신청을 못하셨나요? 원탑에이치알디에서 온라인 교육 실시 가능합니다! PC로 근로자 개별 수강하면 되며, 원하는 시간에 접속하여 수강할 수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을 분기별로 실시하여야 한다는 사실은 거듭되는 강조를 통해서 모두 알고 계실 사실일텐데요. 산업안전보건교육 실시에 앞서 오늘은 사업장의 유해· 위험요인을 파악할 때 참고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유해· 위험요인파악은 산..
-
온라인 퇴직연금교육 안내법정의무교육 2023. 5. 31. 15:55
온라인 퇴직연금교육 안내 2023년 2분기 산업안전보건교육 신청 기간 교육 신청 바로가기 ◆ 퇴직연금교육 ◆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퇴직급여법 제32조 연간 1회, 1시간 이상 실시 퇴직연금제도 가입된 전 근로자 교육 대상 미실시 과태료 최대 1,000만원 이하까지 부과 퇴직연금제도란 기업이 근로자의 퇴직금 지급을 위한 재원을 외부의 금융기관(퇴직연금사업자)에 적립하고, 이를 기업 또는 근로자가 운영하며, 근로자 퇴직시 적립된 퇴직급여를 연금 혹은 일시금으로 지급함으로써 퇴직 후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운용방식에 따라 확정급여형제도(DB), 확정기여형제도(DC), 개인형제도(IRP)로 나뉩니다. 퇴직연금제도의 종류? 1. 확정기여형퇴직연금(DC) 사업장의 부담금이 사전..